대메뉴

상하이방은 상하이 최대의 한인 포털사이트입니다.

중국 마트에서 느껴보는 춘절(春节)

[2018-02-22, 17:22:47] 상하이저널
아주 아주 먼 옛날, 깊은 해저 속에는 ‘녠(年)’이라는 이름의 괴물이 살고 있었다. 그는 1년에 한 번 지상으로 올라와 마을 사람들이 키운 가축들을 잡아먹었다. 그러던 어느 날, 한 거지가 나타나 사람들에게 말했다. “나에게 녠을 대처할 수 있는 방법이 있소! 집 앞에 붉은색 종이를 붙이고 붉은 등을 걸어 놓으시오. 또한 밖에서 폭죽을 터트린다면 녠이 겁에 질려 도망갈 것이오” 사람들은 그 날 저녁 거지의 말대로 하였고, 녠은 거지의 말대로 겁에 질려 도망갔다. 그 후로 사람들은 이 날을 기념하기 시작했고, ‘녠이 지나갔다’는 의미에서 ‘궈녠(过年)’이라고 명명했다. 
 

이 이야기는 ‘궈녠’ 혹은 ‘춘절’ 라고 불리는 중국 음력설에 관련된 신화이다. 엄밀히 따지자면 궈녠과 춘절은 조금의 차이가 있다. 춘절은 설날 당일만을 가리킨다면, 궈녠은 설날 당일부터 정월대보름인 ‘원소절(元宵节)’까지를 가리킨다. 하지만 중국에선 이 둘을 크게 구분하지 않는다. 이번 글에서는 중국 마트에 직접 가서 춘절을 준비하기 위한 물품들을 살펴보았다.

 

 


 

뚜이롄(对联)
뚜이롄은 궈녠기간에 자신의 집 현관문 양 옆과 위에 붙이는 빨간색의 종이이다. 뚜이롄의 시초는 앞서 소개한 춘절 신화와 관련돼 있다. 처음엔 신화 속 ‘녠’이라는 괴물을 쫓기 위한 일종의 부적으로 사용되다가 현재의 형태로 발전됐다. 대표적으로 써져 있는 글귀로는’부귀하고 운수가 좋으며, 재물이 가득하다’란 뜻의 ‘富贵吉祥满门财’ 와 ‘새해에 뜻하는 것을 이루다’란 뜻의 ‘新年新景如意春’ 가 있다. 보통 집안의 운수, 재물, 건강 등을 기원하는 문구가 적혀 있다.

 

  

   

중궈제(中国结)
중궈제는 실을 매듭지어 만드는 중국 전통공예품이다. 여러 실이 모여 하나의 아름다운 매듭을 만들 듯 가족 구성원들이 모두 사이 좋게 화합되길 소망하는 마음이 담겨있다. 
 

   

먼티에(门贴) & 푸즈(福字)
먼티에는 문에 붙이는 스티커를 의미하며, 보통 집, 가게 등의 창문에 붙여 활용한다. ‘복’을 의미하는 ‘푸(福)’자가 적힌 것부터 개 모양까지 다양한 디자인이 존재한다. 푸즈는 福가 적혀져 있는 스티커로써, 문티에와 비슷하지만 보통 현관문에 붙여서 활용한다. 주의할 점은 문에 붙일 시. 정면에서 바라볼 때 ‘네모난 형태’가 아닌 ‘다이아몬드 형태’로 붙여야 한 다는 점이다.
  

 

성샤오화(生肖画)
성샤오(生肖)는 12가지로 대표되는 ‘동물 띠’를 의미한다. 즉, 매 해를 상징하는 해당 동물을 모델삼아 만드는 장식품이 바로 이 ‘성샤오화’이다. 올해는 개띠의 해이기 때문에 개를 모형으로 제작됐다.

 

  

성샤오와와(生肖娃娃)
성샤오와 인형을 뜻하는 와와(娃娃)가 결합된 말로써, 2018년 올해에는 개 모양의 인형을 뜻한다. 
 

 

 

푸와티에(福娃贴)
언뜻 보면 섬뜩하게 생긴 것 같기도 한 푸와티에는 사실 복을 가져다주는 물품이다. 마트에서 본 푸와티에에는 ‘부자 되세요’라는 뜻의 ‘공시파차이(恭喜发财)’라는 문구가 적혀 있었다. 
 

 
먼선(门神)
먼선은 현관문 앞에 붙히는 것으로써 ‘문을 지키는 신’을 의미한다. 뚜이롄과 마찬가지로 춘절 신화와 관련되어 있다. 즉 ‘녠’이라는 괴물을 쫓기 위한 수단으로 이용됐던 것이다. 보통 먼선은 두 명의 인물을 모델로 사용하는데, ‘친슈바오(秦叔宝)’와 ‘웨이츠꽁(尉迟恭)’ 이 그 주인공들이다. 이 둘은 실존 인물로써, 당나라 시대 때 이름을 떨친 장군들이다. 오늘날엔 먼선을 제외하고도 ‘재물의 신’인  ‘차이션(财神)’도 많이 쓴다고 한다.

 

  

홍바오(红包)
한국의 세뱃돈 봉투에 해당하는 홍바오는 오늘 날 중국에선 SNS를 통해서도 편하게 주고 받을 수 있게 되었다. 하지만 춘절과 같은 큰 명절에는 종이로 제작된 홍바오를 많이 쓴다. 사람들이 인터넷 편지보다 손 편지에 더 감동받듯, 홍바오도 같다. 주는이의 정성이 담긴 이 종이 홍바오는 아직도 중국인들의 많은 사랑을 받고 있다.

 

  
홍내이이(红内衣)
‘홍(红)’은 빨간색, ‘내이이(内衣)’는 속옷을 의미한다. 즉 빨간 속옷이다. 근데 재미난 것은 이 빨간 속옷은 아무나 입는 것이 아니다. 본인의 ‘번밍녠(本命年)’일 때만 입는다. 물론 평소에 빨간 속옷을 좋아해서 입는 사람은 제외이다. 여기서 ‘번밍녠’은 ‘자신의 띠와 해당 연도의 띠가 일치할 때의 연도’를 의미한다. 즉 개띠인 사람은 올해가 번밍녠인 것이다. 

 

 


직접 구매해 보았다

필자는 마트에서 직접 성샤오화, 성샤오와와, 푸즈 이 세 가지 물품을 구매하였다. 이번 설날을 한국이 아닌 중국에서 보내는 만큼 중국식으로 준비하였다. 성샤오화는 책장 옆면에 붙여놓았고 성샤오와와는 책장 위에 올려두었다. 멍청한(?)표정이 맘에 쏙 든다. 
  
푸즈는 붙이는 방식에 유의하여 ‘다이아몬드 모양’으로 잘 붙여 두었다. 사실 기숙사 규정상 현관문 밖에 무언가를 붙여 놓으면 안되지만 타국에서 춘절을 맞이하는 유학생을 따뜻하게 이해해 주리라 믿음에 붙여버렸다. 
 

 

학생기자 이인재(저장대 시장마케팅학과)

 

 

 

 

 

ⓒ 상하이방(http://www.shanghaibang.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전체의견 수 0

댓글 등록 폼

비밀로 하기

등록

가장 많이 본 뉴스

종합

  1. 위기의 헝다 자동차, 지방정부가 “보..
  2. 트립닷컴, 관광업 회복에 1분기 수익..
  3. 샤오미, 1분기 순이익 전년比 2배..
  4. ‘공감’ 6주년 기획 '몸·맘·쉼'..
  5. “장가계, 한국인 줄”… 中 언론 “..
  6. 中 스타벅스, 주문 안한 손님 내보내..
  7. [상하이의 사랑법 13] 마음에 들어..
  8. 상하이 新정책 호재에 부동산 시장 ‘..
  9. 알리클라우드, 한국 등 5개국에 데이..
  10. 중국 외교부 화춘잉(华春莹) 대변인,..

경제

  1. 위기의 헝다 자동차, 지방정부가 “보..
  2. 트립닷컴, 관광업 회복에 1분기 수익..
  3. 샤오미, 1분기 순이익 전년比 2배..
  4. 상하이 新정책 호재에 부동산 시장 ‘..
  5. 알리클라우드, 한국 등 5개국에 데이..
  6. 上海 부동산 新정책 발표, 첫 주택..
  7. 中 ‘517’정책 후 부동산 시장 활..
  8. 中 농업·교통·중신은행 ATM 무카드..
  9. 징동 류창동, ‘대기업병’걸린 직원들..
  10. 헝다 자동차, 지분 매각 소식에 주가..

사회

  1. ‘공감’ 6주년 기획 '몸·맘·쉼'..
  2. “장가계, 한국인 줄”… 中 언론 “..
  3. 中 스타벅스, 주문 안한 손님 내보내..
  4. 중국 외교부 화춘잉(华春莹) 대변인,..
  5. 상하이, 中 최초 ‘실외 흡연구역 기..

문화

  1. "책으로 만나는 특별한 상하이".....
  2. [신간안내] 북코리아 5월의 책
  3. ‘범죄도시 4’ 상하이 온다
  4. [책읽는 상하이 241] 하루 3분,..

오피니언

  1. [허스토리 in 상하이] 5월에 하는..
  2. [허스토리 in 상하이] 눈에 보이지..
  3. [허스토리 in 상하이] 눈에 보이지..
  4. [무역협회] 對中 AI 모델 수출..
  5. [상하이의 사랑법 13] 마음에 들어..
  6. [김쌤 교육칼럼] TCK들의 글로벌..

프리미엄광고

ad

플러스업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