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메뉴

상하이방은 상하이 최대의 한인 포털사이트입니다.

[코트라] -유망- 중국 견과류 시장동향

[2017-06-22, 10:12:06]

- 견과류 시장규모 연평균 13%의 성장세 –

 
□ 상품명 및 HS Code   
 
  ㅇ 상품명: 견과류(HS Code 0802, 200819) 
 
□ 선정사유  
 
  ㅇ 견과류는 당뇨병 예방, 심혈관 질환 예방, 뇌세포 활성화, 시력 증강 등 여러 방면에서 웰빙식품으로 각광을 받으며 갈수록 많은 소비자들이 즐겨 찾는 레저 식품으로 부상 
 
  ㅇ 소득수준이 높아짐에 따라 중국 소비자들이 웰빙 음식을 찾게 됐으며, 고급스러운 웰빙식품으로 인정받은 견과류의 수요가 증가
 
    - 2016년 중국식품공업협회에서는 첫 '9·17 견과류 건강일'을 제정해 하루에 견과류 한 줌씩 먹으면 건강해진다고 권고함.
 
  ㅇ 중국 소비자들은 자주 찾는 레저 식품 중 사탕, 과자 다음으로 견과류를 선호하는 것으로 조사됨.  
 
    - '2017년 중국인 간식 소비 트렌드' 보고서에 따르면, 40%의 중국 소비자는 전년 대비 견과류에 대한 소비가 증가했음. 그 중 58%가 견과류가 맛있다는 평가이고 44%가 편리하다고 대답함.
 
    - 견과류는 남녀노소가 모두 즐길 수 있고 최근에는 특히 노인, 어린이, 임산부 등 풍부한 영양공급을 필요로 하는 계층을 중심으로 수요가 늘고 있음.
 
    - 중국은 수입산 견과류 제품에 대한 인기 상승과 한-중 자유무역협정(FTA)의 무관세 장점까지 활용할 수 있어 중국 시장 선점을 모색함이 필요
 
  ㅇ 알리바바 플랫폼에서 판매된 10대 농산품 중 견과류의 판매액이 100억 위안 이상으로 가장 많이 팔린 것으로 조사됨 


2016년 알리바바플랫폼에서 판매되는 10대 농산품 비교도

자료원: 글로벌농업망(环球农业网) 


□  시장규모 및 동향
 
  ㅇ 중국 베이징, 광저우, 시안 등 지역에는 전문 견과류 도매시장이 있을 정도로 견과류는 중국에서 산업체인을 형성
 
    - 중국 산업발전연구원망(中国产业发展研究网)의 보고 자료에 의하면 중국 견과류시장 매출액은 2011년 444억 위안에서 2016년에는 780억 위안으로 증가, 연평균 13%의 성장률을 보였으며 2017년에는 861억 위안의 매출을 올릴 것으로 전망
 
    - 중국 상업보(中国商报)는 중국의 견과류 시장은 고속성장 중에 있고 2020년 시장규모는 1000억 위안 이상으로 성장될 전망이리고 보도한바 있음.

 

자료원: 중국산업발전연구망(中国产业发展研究网)


  ㅇ 과거, 껍질채로 유통되던 견과류가 이제는 껍질을 벗긴 제품에서부터 조미료가 첨가된 견과 제품 등 나날이 참신한 제품으로 진화하고 있음.
 
    - 예를 들어, 최근에 인기를 모은 '三只松鼠' 브랜드 중 대추에 호두를 넣어 가공한 제품이 창의적인 아이디어로 각광받으며 견과류 업계에서 히트를 침.
 
  ㅇ 중국인의 선호하는 견과류
 
    - 알리바바 플랫폼 판매량 순위에서 보면 중국인이 선호하는 건과류는 잣, 마카다미아, 피칸, 호두, 캐슈넛, 아몬드, 해바라기씨, 땅콩, 피스타치오, 콩류, 밤 등이 있음 


2016년 알리바바 플랫폼 견과류 종류별 판매 순위
                                                                                                                  (단위: 억 위안)

자료원: 중국산업발전연구망(中国产业发展研究网) 


  ㅇ 전시회 정보
  

 

□ 최근 3년 수입규모 및 상위 10개국 수입동향

 
  ㅇ 2016년 중국 견과류  HS Code 0802 기준 수입규모는 전년 대비 9% 감소한 5억2771만2000달러, HS Code 0200819 기준 수입규모는 전년 대비 34.8% 증가한 1억3451만5000달러로 집계됨.  


중국 견과류(HS Code 0802 기준) 주요 수입국 현황 
                                                                                                                      (단위: 천 달러, %)

자료원: KITA
 
중국 견과류(HS Code 200819 기준) 주요 수입국 현황
                                                                                                         (단위: 천 달러, %) 

자료원: KITA
 

□ 대한수입 규모 및 동향 
 

  ㅇ 2016년 중국 견과류(HS Code 0802 기준) 한국에서 수입되는 금액은 전년 대비 25% 증가한 1220만4000달러로 집계됨.
 
  ㅇ 중국에서 판매되고 있는 한국 견과류 제품


    - 한국산 견과류 제품은 이미 중국인에게 널리 알려져 있고, 또한 즐겨찾는 간식 중 하나임.
 
    - gilim 브랜드 중 하니버터아몬드일 경우 2016년 제14회 한국브랜드 대상 선발에서 견과류 브랜드 중 1등상 수여 


중국에서 판매되고 있는 한국 견과류

자료원: tmall(天猫) 


□ 경쟁동향 및 주요 경쟁기업
 

  ㅇ 중국 로컬기업

 

 

 

 

자료원: 중국산업정보망(中国产业信息网) 

ㅇ 중국진출 외자기업


자료원: 중국식품투자유치망(中国食品招商网) 


□ 관세율 및 수입규제인증
 

  ㅇ 관세율
 
    - 건과류의 관세는 10%, 24%, 25%로 다양함. 건과류일 경우 한-중 FTA 협정으로 인해 관세 혜택을 받을 수 있어 아래 표 중 한-중 FTA 협정(2015년12월20일 발효) 관세란 참조
 
    - 관세 이외 증치세가 HS Code 0802 기준 13%, HS Code 200819 기준 17% 부과됨.


건과류 수입관세율
                                                                                            (단위: %)

 

ㅇ 수입규제인증
 
    - 중국 해관 수입 통관 시 동식물제품검역 및 위생감독검사가 필요.
 
    - 특별 강제성 인증제도는 없음
 
  ㅇ 견과류 수입 조건
 
    - 견과류 수입을 원하는 회사가 갖추어야 할 서류
 
   ① 사업자등록증(경영범위에 식품이 들어 있어야 함)
 
   ② 수출입권한 취득
 
   - 견과류 수입 시 필요한 서류
 
   ① 원산지증명
 
   ② 수출국위생허가증
 
   ③ 라벨 샘플 및 내용 중문번역본
 
   ④ 제3자가 제공한 성분 표 및 공장에서 제공하는 원료 배합 표
 
   ⑤ 무역계약서(Packing list)
 
   ⑥ 선적증빙(Contact)
 
   ⑦ 견적서(Invoice)
 
   ⑧ 동식물제품검역증명(Phytosanitary Certificate)
 
□ 유통구조

  ㅇ 일반적으로 수입업체가 중국 내로 견과류 제품을 수입해 소매점, 매장, 온라인 쇼핑몰 등을 통해 최종 소비자에게 판매하거나 현지 제조업체가 유통업체를 통해 판매하는 유형임 
 
  ㅇ 최근에는 O2O유통방식으로 무관세 정책 혜택을 받으며 유통 가능
 
    - 보세구 내 체험관의 경우 다양한 제품을 취급, 소비자들이 제품을 체험하고 바코드를 스캔함으로써 온라인 주문 및 신속한 배달이 이루어짐. 

 

 

 

□ 시사점
 

  ㅇ 견과류는 이미 중국인에게 웰빙 제품, 다이어트 제품, 영양제품 등 테마를 부쳐가면서 즐겨찾는 간식 중 하나로 그 시장규모는 빠른 속도로 성장하고 있음.
 
    - 중국인의 일인당 견과류 섭취량이 미국의 1/6가량 된다는 조사로부터 볼 때 중국 견과류 시장의 성장잠재력이 크다고 볼 수 있음.
 
  ㅇ 한국의 허니버터맛 아몬드, 불닭볶음맛 아몬드 등 독특한 맛을 첨가한 견과류가 중국 시장에서 인기를 끌고 있음.
 
    - 국내 시장에서 보지 못한 독특한 제품들은 중국 소비자들의 호기심을 자극함에 따라 중국 브랜드들도 독특한 맛을 첨가한 견과류를 앞다투어 내놓고 있음.
 
  ㅇ 해외 제품이 앞다투어 중국 시장을 점령하지만 중국 내 동업계 기업 관계자는 해외제품이 중국 견과류 제품을 대체하는 것이 아니라, 중국 견과류 시장을 더욱 다채롭고 다변화시키는 긍정적인 시장 성장 요인이라고 평가함.
 
자료원: 글로벌농업망, 중국산업발전연구망,  KITA, 중국산업정보망, 중국식품투자유치망 및 KOTRA 항저우 무역관 자료 종합  

전체의견 수 0

댓글 등록 폼

비밀로 하기

등록

가장 많이 본 뉴스

종합

  1. 위기의 헝다 자동차, 지방정부가 “보..
  2. 트립닷컴, 관광업 회복에 1분기 수익..
  3. 샤오미, 1분기 순이익 전년比 2배..
  4. ‘공감’ 6주년 기획 '몸·맘·쉼'..
  5. “장가계, 한국인 줄”… 中 언론 “..
  6. 상하이 新정책 호재에 부동산 시장 ‘..
  7. 中 스타벅스, 주문 안한 손님 내보내..
  8. [상하이의 사랑법 13] 마음에 들어..
  9. 알리클라우드, 한국 등 5개국에 데이..
  10. 上海 부동산 新정책 발표, 첫 주택..

경제

  1. 위기의 헝다 자동차, 지방정부가 “보..
  2. 트립닷컴, 관광업 회복에 1분기 수익..
  3. 샤오미, 1분기 순이익 전년比 2배..
  4. 상하이 新정책 호재에 부동산 시장 ‘..
  5. 알리클라우드, 한국 등 5개국에 데이..
  6. 上海 부동산 新정책 발표, 첫 주택..
  7. 中 ‘517’정책 후 부동산 시장 활..
  8. 中 농업·교통·중신은행 ATM 무카드..
  9. 징동 류창동, ‘대기업병’걸린 직원들..
  10. 헝다 자동차, 지분 매각 소식에 주가..

사회

  1. ‘공감’ 6주년 기획 '몸·맘·쉼'..
  2. “장가계, 한국인 줄”… 中 언론 “..
  3. 中 스타벅스, 주문 안한 손님 내보내..
  4. 중국 외교부 화춘잉(华春莹) 대변인,..
  5. 상하이, 中 최초 ‘실외 흡연구역 기..

문화

  1. "책으로 만나는 특별한 상하이".....
  2. [신간안내] 북코리아 5월의 책
  3. ‘범죄도시 4’ 상하이 온다
  4. [책읽는 상하이 241] 하루 3분,..

오피니언

  1. [허스토리 in 상하이] 5월에 하는..
  2. [허스토리 in 상하이] 눈에 보이지..
  3. [허스토리 in 상하이] 눈에 보이지..
  4. [무역협회] 對中 AI 모델 수출..
  5. [상하이의 사랑법 13] 마음에 들어..
  6. [김쌤 교육칼럼] TCK들의 글로벌..

프리미엄광고

ad

플러스업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