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메뉴

상하이방은 상하이 최대의 한인 포털사이트입니다.

[코트라] 4월 중국 경제지표가 주는 메시지는?

[2017-05-25, 15:15:24]

- CPI와 PPI 격차 축소로 물가가 안정될 것으로 기대 -


- 수출 증가폭 축소됐으나 향후 전망 좋을 것 -

 

 

□ 4월 CPI 상승 유지

 

  ㅇ2017년 5월 10일 국가통계국(国家统计局)이 발표한 올해 4월 중국 소비자물가지수(CPI)와 생산자물가지수(PPI) 통계자료에 따르면 CPI는 전월대비 0.1%, 동기대비 1.2% 상승함.

    - 식품 가격은 3.5% 하락, 비식품 가격은 2.4% 상승했으며, 소비품과 서비스 가격은 각각 0.2%, 2.9% 상승

    - 1~4월 평균 중국 CPI는 전년 동기대비 1.4% 상승했으며 그 상승 폭은 완만함.

    - CPI 상승 폭 중 전년도 가격 상승에 의한 이월효과가 0.6%p, 새로운 가격상승으로 인한 요소가 0.6%p 차지하는 것으로 분석됨.

    - 전문가들은 현재 통계자료에 나타난 인플레이션 압력은 크지 않으며 향후 물가는 안정적일 것으로 판단함.

 

  ㅇ 이번 CPI 상승의 원인은 식품에 있지 않다는 점이 특이점임.

    - 4월 식품·담배·주류 가격이 동기대비 1.8% 하락해 CPI의 0.56%p 하락에 기여한 반면, 비식품 가격은 동기대비 2.4% 상승해 비식품 분야에서 CPI의 1.9%p 상승을 이끌었음.

    - 식품가격은 동기대비 3.5% 하락했는 바 채소가격이 21.6%, 계란, 돼지고기, 조류고기는 각각 11.4%, 8.1%, 2.7% 하락한 것으로 나타남.

    - 비식품분야 중 의료보건과 관광 가격은 각각 5.7%, 4.2%, 교통 및 교육서비스 가격은 3.4%, 거주 가격은 2.4% 상승한 것으로 나타남. 

 

EMB000020800852

자료원: 중국망(中国网)

 

□ PPI 전월대비 감소세 전환

 

  ㅇ 지난해 7월 이후 상승세를 이어오던 PPI는 올해 4월 처음으로 전월대비 하락세로 전환

    - 1~4월 평균 PPI는 동기대비 7.2% 상승했으나, 4월에는 전년대비 6.4% 상승으로 전월대비 상승 폭이 1.2%p 감소함.

    - PPI 가운데 생산재 가격이 동기대비 8.4% 상승해 PPI의 6.2%p 상승에 기여했으며, 생활물자 가격은 동기대비 0.7% 상승해 PPI의 0.2% 상승을 이끌었음.

    - 생산재 가격 중 특히 채굴공업 가격이 28.3%, 원재료 공업이 13.0%, 가공공업이 5.2% 상승하며 큰 영향을 끼친 것으로 나타남.

    - 상승 폭 중 전년도 가격 변동에 의한 이월효과가 약 5.1%p, 새로운 가격상승에 인한 요소가 약 1.3%p를 차지하는 것으로 추정

 

  ㅇ 전년대비 PPI 상승은 특히 6대 업종의 영향으로 PPI 상승 폭 중 4.9%p나 기여, 전체 상승 폭의 76.6%를 차지함.

    - 6대 업종은 석유 및 천연가스 채취업, 석탄 채굴 및 세광․선광업, 석유 가공업, 철금속 제련 및 압연가공업, 비철금속 제련 및 압연가공업, 화학원료 및 화학제품제조업으로 각각 가격이 43.0%, 40.4%, 27.5%, 22.3%, 15.8%, 9.2% 상승함.

 

□ CPI, PPI 격차 축소될 것

 

  ㅇ 앞서 업계에서 우려한 CPI, PPI의 큰 격차는 올해 4월 5.2%p까지 축소됨.

    - PPI의 상승세가 둔화됨에 따라 CPI에 대한 부담이 줄어들 것으로 예상됨.

    - 민생은행(民生银行) 원빈(温彬) 수석연구원은 지난해 기저효과로 인해 2·3분기 CPI 상승 폭은 더욱 커지고, PPI 상승 폭은 한층 축소되며, 전체적인 물가수준이 더 안정될 것으로 예상함.

 

 

 

EMB000020800853

자료원: 바이두(百度)

 

□ 4월 수출입 증가세 둔화 및 무역수지

 

  ㅇ 4월 중국의 수출입 총액은 2조2200억 위안으로 16.2% 증가함.

    - 중국해관총서가 공개한 무역 통계자료에 따르면 4월 수출은 1조2400억 위안(14.3% 증가), 수입은 9791억 위안(18.6% 증가)이며, 흑자는 2623억 위안(0.6% 증가)을 기록함.

    - 모건스탠리-화신증권(华鑫证券)의 장쥔(章俊) 수석 경제학자는 수입 증가율이 크게 하락한 주요 원인을 원유, 철광석 등 대종상품의 가격 및 수입량 모두 하락한 것으로 분석했음. 이는 전 세계 대종상품 가격의 하락세로 인해 CRB 대종상품 가격지수가 최근 큰 폭으로 하락한 데서도 잘 나타남.

    - 장쥔은 아울러 올해 해외 수요의 회복세는 수출 회복세로도 이어질 것이며, 부진한 고정자산투자 문제를 일정 부분 해소해 중국 경제의 성장 동력 중 하나로 부상할 것으로 예상함.

 

  ㅇ 낮은 기저효과와 가격 반등, 수요의 상승세 전환으로 수입이 증가해 4월 수입은 동기대비 11.9% 증가했고, 수입 증가율은 4개월 연속 두 자릿수를 기록함,

    - 2월부터 수입 증가율은 각각 38.1%, 20.3%, 11.9%로 점차 하락하는 추세를 보임,

 

  ㅇ 4월 무역수지 흑자는 전월 239억2000만 달러에서 380억5000만 달러로 증가함.

    - 4월 수입 증가율의 하락 폭이 수출 하락 폭을 초과, 2월에 무역수지 적자 기록 후 2달 연속 흑자가 증가한 것임.

    - 높아진 기저효과, 가격 기여도 감소, 피동적인 재고확보 및 금융리스크 최소화 등의 영향으로 4월 수출입 증가세는 모두 전월대비 하락했으나 여전히 높은 수준을 유지하고 있어 양호할 것으로 전망함.

    - 경제학자 덩하이칭(邓海清)은 미국 경제의 계절성 조정요인이 약해지고, 유럽 및 일본 경제가 지속적으로 성장하고 있어 향후 수출이 다시금 좋아지겠으나, 2분기부터 경제 회복이 둔화되며 수입이 감소세로 돌아서면서 향후 무역수지 수치는 크게 요동칠 것으로 예상함.
 

 

EMB000020800854

자료원: 바이두(百度)

 

□ 2분기 수출은 증가세 유지 전망

 

  ㅇ 수출 증가로 1분기 중국 GDP 성장률은 6.9%를 기록, 2분기 연속 상승함.

    - 전년대비 가장 큰 변화요소는 무역수지로, 2017년 1분기 순수출이 경제성장에 4.2%를, 성장률에 0.3%p 기여한 것으로 나타남.

    - 수출은 지난 5분기 연속 경제 성장의 부정적인 요소였으나 긍정적 요소로 전환했다는 점에서 큰 의의가 있음.

 

  ㅇ 2017년 수출 증가율은 전년 대비 높을 것으로 전망

    - 교통은행의 롄핑(连平) 수석 경제학자는 보호무역주의의 부정적 영향이 감소해 2분기 수출 증가세는 유지되고, 올해 수출 증가율은 전년보다 높을 것으로 전망함.

    - 올해 상반기 캔톤페어의 누적 수출성약액은 2063억5700만 위안으로 동기대비 6.9% 증가했으며, 4월 중국의 대외무역 수출선행지수, CSPI(China Shipping Prosperity Index) 및 CSFI(China Shipping Confidence Index) 모두 다소 상승해 수출회복의 지속가능성을 나타냄.

 

 

수출의 GDP 기여도 

EMB000020800855

 

주: external_image 동기대비 순수출의 누적 GDP에 대한 기여도(%p)(우축)

external_image누적 GDP 대비 순수출의 동기대비 기여도(%)(좌축)

자료원: Wind 컨설턴트, 쑤닝(苏宁)금융연구원

 

□ 전망

 

  ㅇ 최근 철강, 석탄, 동 및 원유 등 에너지 원료 가격 하락, 중국 경제의 성장 동력 약화 가능성, PPI의 이월효과 감소 등 요인 고려 시 향후 PPI 지수 상승 폭은 감소할 것으로 전망

 

  ㅇ 아울러 전문가들은 최근 인플레이션에 대해 우려할 필요가 없고, 향후 통화정책의 추가 긴축 여지와 필요성이 감소하고 있으며, 금융 리스크 예방에 더욱 집중할 것으로 판단하고 있음

 

  ㅇ 2분기 경제 상승세 및 수입 증가세 모두 둔화될 것으로 전망

    - 대종상품 수입수요의 하락은 전체 수입 증가율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며, 향후 수입 증가세는 한 자리수까지 하락할 것으로 전망

 

  ㅇ 2017년 수출은 안정적인 성장세를 보이며 경제발전의 깜짝 성장동력이 될 것으로 예상함.

    - 외부 수요가 많고 보호무역주의 부정적 영향이 예상보다 적었으며, 전 세계 경기회복에 따라 국가별 수입 수요가 증가세로 전환되고 있음.

    - 또한 위안화 환율 평가가 개선되고 환율의 안정화 역시 수출을 촉진시킬 것으로 예상함.

 
자료원: 상하이증권보(上海证券报), 중국증권보(中国证券报), 후이통망(汇通网), 중국망(中国网), 쑤닝금융연구원(苏宁金融研究院) 및 KOTRA 상하이 무역관 자료 종합  

전체의견 수 0

댓글 등록 폼

비밀로 하기

등록

가장 많이 본 뉴스

종합

  1. 위기의 헝다 자동차, 지방정부가 “보..
  2. 트립닷컴, 관광업 회복에 1분기 수익..
  3. 샤오미, 1분기 순이익 전년比 2배..
  4. ‘공감’ 6주년 기획 '몸·맘·쉼'..
  5. “장가계, 한국인 줄”… 中 언론 “..
  6. 中 스타벅스, 주문 안한 손님 내보내..
  7. 상하이 新정책 호재에 부동산 시장 ‘..
  8. [상하이의 사랑법 13] 마음에 들어..
  9. 알리클라우드, 한국 등 5개국에 데이..
  10. 중국 외교부 화춘잉(华春莹) 대변인,..

경제

  1. 위기의 헝다 자동차, 지방정부가 “보..
  2. 트립닷컴, 관광업 회복에 1분기 수익..
  3. 샤오미, 1분기 순이익 전년比 2배..
  4. 상하이 新정책 호재에 부동산 시장 ‘..
  5. 알리클라우드, 한국 등 5개국에 데이..
  6. 上海 부동산 新정책 발표, 첫 주택..
  7. 中 ‘517’정책 후 부동산 시장 활..
  8. 中 농업·교통·중신은행 ATM 무카드..
  9. 징동 류창동, ‘대기업병’걸린 직원들..
  10. 헝다 자동차, 지분 매각 소식에 주가..

사회

  1. ‘공감’ 6주년 기획 '몸·맘·쉼'..
  2. “장가계, 한국인 줄”… 中 언론 “..
  3. 中 스타벅스, 주문 안한 손님 내보내..
  4. 중국 외교부 화춘잉(华春莹) 대변인,..
  5. 상하이, 中 최초 ‘실외 흡연구역 기..

문화

  1. "책으로 만나는 특별한 상하이".....
  2. [신간안내] 북코리아 5월의 책
  3. ‘범죄도시 4’ 상하이 온다
  4. [책읽는 상하이 241] 하루 3분,..

오피니언

  1. [허스토리 in 상하이] 5월에 하는..
  2. [허스토리 in 상하이] 눈에 보이지..
  3. [허스토리 in 상하이] 눈에 보이지..
  4. [무역협회] 對中 AI 모델 수출..
  5. [상하이의 사랑법 13] 마음에 들어..
  6. [김쌤 교육칼럼] TCK들의 글로벌..

프리미엄광고

ad

플러스업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