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메뉴

상하이방은 상하이 최대의 한인 포털사이트입니다.

新한류열풍 "이제는 예능이다"

[2015-04-07, 11:34:08]

예능 포맷 수출 봇물
4월 출격 앞둔 프로그램만 5개

 

“해도 해도 너무 하네, 그대로 갖다 베꼈잖아”
작년 초 무심코 돌린 채널에 잡힌 중국판 <아빠 어디가>를 보던 한국인 관광객 L씨가 내뱉은 말이다. 당시만 해도 중국 내 한국 예능프로그램 포맷 수출이 흔치 않았던 터라 노골적으로 베꼈다고 오해한 것이다. 2013년 6월, 한국 일각에서는 <1대100>, <댄싱 위드 더 스타>, <코리아 갓 탤런트> 등의 선전을 두고 무분별한 포맷 수입을 우려했다. 하지만 <나는 가수다>와 <아빠 어디가>로 불붙은 예능 한류는 1년 반 새에 중국 예능 시장을 무서운 기세로 장악했다. 포맷 수입국에서 수출국으로 탈바꿈한 것이다.


최근 종영한 <나는 가수다 시즌 3>는 꾸준히 동 시간대 시청률 1위를 유지한 것은 물론, 결승전에서 2.47%의 자체 최고 시청률을 기록하며 유종의 미를 거뒀다. 올 초부터 <개그콘서트>가 매주 토요일 저녁 방영되고 있으며, 3월부터 시작한 <꽃보다 누나>는 1%에 가까운 시청률을 기록하며 순항 중에 있다.


시청률 4%를 돌파하는 기염을 토하며 시즌 1을 마무리한 <런닝맨>은 오는 17일 시즌 2로 돌아온다. 또한 MBC의 <진짜 사나이>가 10일, JTBC의 <비정상회담>이 16일 중국에서 첫 선을 보인다. <우리 결혼했어요>와 <슈퍼맨이 돌아왔다 시즌2>는 4~5월 내 출격을 앞두고 있다. 여기에 대한민국 대표 예능으로 꼽히는 <무한도전>까지 지난 3월 연합제작 의향서를 체결해 그야말로 한국 예능 대격전이 자리만 옮겨 재현되는 양상이다.

 

지난 31일, 왕이신문(网易新闻)은 “한국 포맷을 수입해 만든 프로그램이 중국 예능의 70% 이상”이라며 “올해에만 한국이 예능으로 벌어들인 이익이 5억달러(한화 5471억원)를 넘었다”고 보도했다. 포맷 판권 금액은 대외비로 통하지만, 보도에 따르면 <런닝맨>은 2억위안(한화 353억원)이 넘는 금액에 팔린 것으로 알려졌다. 한편 동방망(东方网)은 “보통 프로그램 편당 1~3만 달러(한화 1100만원~3300만원)에 거래되고 있다”며 “이는 최근 1년 새 최대 10배까지 오른 수치”라고 전했다.

 

사정이 이렇다 보니 ‘동방 문화예술의 중심인 중국이 한국 예능을 사들이는데 막대한 돈을 쏟아 붓는 것은 굴욕적’이라는 반응도 있다. 하지만 중국 방송계 전문가들은 “합작을 통해 제작 기술과 능력을 키워가고 있다. 한국의 리얼리티 쇼 제작 수준은 3년 내에 따라잡을 것”이라고 전망했다. 합작 경험이 쌓일 때까지 와신상담(卧薪尝胆) 중인 셈이다.

 

실제로 포맷 수출이 탄력을 받는 한편, 제작 노하우를 전수받은 중국 방송사들의 카피 프로그램이 우후죽순으로 생겨나고 있다. 후난위성TV의 <꽃과 소년(花儿与少年)>은 방영 직후 한국의 <꽃보다 누나> 표절 논란에 휩싸였으나 서안오신문(西安午新闻)은 “’베꼈다, 배운 거다, 참고한 거다’ 말이 많지만 어쨌든 중국 자체 능력으로 좋은 프로그램을 제작한 것’은 고무적”이라는 뜻을 내비쳤다. 장쑤위성TV의 <다같이 웃자(一起来笑吧)>는 한국의 <웃찾사>의 코너를 통째로 베껴 논란이 일자 뒤늦게 컨설팅 협약을 맺어 수습하기도 했다.

 

체계적인 시스템과 매뉴얼이 아닌 제작진 개인의 역량에 기반한 성공이 대부분인 한국 예능 제작 현실에서 포맷 수출이 ‘황금알을 낳는 거위’로 지속될 것인지 ‘인재•기술 유출’의 통로가 될 것인지 고민이 필요한 시점이다.

 

▷김혜련 기자

 

 
ⓒ 상하이방(http://www.shanghaibang.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전체의견 수 2

  • 아이콘
    한국은결국 2015.04.10, 14:06:34
    수정 삭제

    한국은 결국 대만처럼 중국의 방송하청을 받는 곳으로 그 위치와 위상이 바뀔 것이다.
    등.신같은 것들 .. 지금은 한류가 대세니 어쩌니 하는데 .. 대만의 방송업계가 중국과의
    관계에서 지나왔던 모든 과정을 확실히 되새겨서 그 길을 같이 걷지 말아야 할 것이다.
    지금 당장 돈 얼마에 .. 하하호호 거리다가 된통 뒷통수 치는 일을 당할 것이다.

  • 아이콘
    하꽁따 2015.04.10, 23:23:30
    수정 삭제

    수출이든 베끼기든 한국의 방식이 그만큼 선호되고 있다는 점에서 고무적이라는 생각이 듭니다. 직접수익으로 가져오는게 큰 의미가 있나 싶지만.. 아무튼 고민이 필요한 시점이라는 점에 동감합니다. 좋은기사 읽고 갑니다~

댓글 등록 폼

비밀로 하기

등록

가장 많이 본 뉴스

종합

  1. 6월 15일부터 상하이-홍콩 고속철..
  2. [독자투고] 상하이에서 TCK로 살아..
  3. 2024년도 가오카오, 6월 7~9일..
  4. 中 6월부터 시행되는 최신 규정…택배..
  5. 상하이, 작년 공기 좋은 날 ‘320..
  6. 美 타임지 세계 100대 영향력있는..
  7. '탕후루' 가고 '밀크티' 온다
  8. 상하이 국제영화제 이달 14일 개막...
  9. 中 1~4월 베이징·상하이 외식 소비..
  10. 상하이, 단오절 맞이 민속·문화예술..

경제

  1. 中 6월부터 시행되는 최신 규정…택배..
  2. 美 타임지 세계 100대 영향력있는..
  3. 中 1~4월 베이징·상하이 외식 소비..
  4. 마오타이, 아이스크림 인기 시들…줄줄..
  5. 중국 대표 남성의류·스포츠 기업 ‘사..
  6. 中 4월 친환경 선박 수주 점유율 세..
  7. 씨티은행 “중국 집값 6~9개월 내..
  8. 中 국산 항공기, 바이오 항공유로 첫..
  9. 中 1분기 커피시장 약세…주요 브랜드..
  10. 中 전기차 니오, 1~5월 인도량 전..

사회

  1. 6월 15일부터 상하이-홍콩 고속철..
  2. 2024년도 가오카오, 6월 7~9일..
  3. 상하이, 작년 공기 좋은 날 ‘320..
  4. 상하이 국제영화제 이달 14일 개막...
  5. 中 가오카오 기간 가장 ‘열일’하는..
  6. 中 베이징대·칭화대, 2025 QS..
  7. 中 난임 증가에 보조생식술 의료보험..
  8. “K-가곡, 상하이음악청에 울린다”
  9. 상하이저널 대학생 기자단 2024 상..
  10. 상하이, 외국인을 위한 ‘How to..

문화

  1. ‘범죄도시 4’ 상하이 온다
  2. [책읽는 상하이 241] 하루 3분,..
  3. 상하이, 단오절 맞이 민속·문화예술..
  4. 희망도서관 2024년 6월의 새 책
  5. “K-가곡, 상하이음악청에 울린다”

오피니언

  1. [김쌤 교육칼럼] TCK들의 글로벌..
  2. [독자투고] 상하이에서 TCK로 살아..
  3. [중국 세무회계 칼럼] Q&A_ 중국..
  4. [신선영의 ‘상하이 주재원’] 4년..
  5. [무역협회] 韩, 왜 해외직구를 규제..
  6. [허스토리 in 상하이] You ar..
  7. [Jiahui 건강칼럼] 무더운 여름..
  8. [안나의 상하이 이야기 12]상하이..

프리미엄광고

ad

플러스업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