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메뉴

상하이방은 상하이 최대의 한인 포털사이트입니다.

방학 중, 아이가 ‘컴 수렁’에 빠져있다면

[2010-07-23, 16:47:14] 상하이저널
 잠시 학교에서 벗어나 자유로운 생활을 할 수 있는 방학이다. 그만큼 컴퓨터를 이용하는 시간이 늘어나는 때이기도 하다. 자칫 잘못하면 컴퓨터의 수렁에 빠지는 학생들이 생기는 때이기도 하다. 아이의 바른 컴퓨터 사용을 위한 방법을 알아보자.

아이가 컴퓨터를 끄지 못한다면
아이들은 사이버 공간에서 다양한 사람들과 이야기하며 관계를 맺는다. 이 같은 과정에서 자기 자신의 또 다른 모습을 찾기도 한다. 특히 부모의 관찰•보호가 미치지 못하기 때문에 ‘자유롭다’고 느낄 수도 있다. 인터넷 웹서핑이나 게임, 인터넷 쇼핑 외 도박성 게임과 성인 사이트 등도 아이에게 무방비로 노출돼 있다. 부모가 관심을 갖지 않는다면 호기심 많은 아이들은 정서적으로 바람직하지 못한 내용의 사이트들에도 접속할 수 있다. 아이가 컴퓨터 사용을 스스로 통제할 수 없을 때는 부모에게 컴퓨터를 켜거나 인터넷에 접속하는 이유를 말하고 허락을 받은 후 쓰게 하는 것이 좋다. 아이 혼자 컴퓨터를 다루게 하는 것보다는 가족이 함께 있는 거실 등 개방적인 공간에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게임을 좋아하는 아이는 학습용 게임 등을 이용하도록 유도하는 것도 하나의 방법이다.

유해사이트 차단 서비스 적절히 이용
컴퓨터 사용이 중독 수준인 아이들은 자기 통제력을 잃고 대인관계 장애나 감정조절 불가능, 강박증상 등이 올 수 있다. 건강을 해치기도 한다. 이런 증상들을 오래 방치하면 성장에 문제가 될 뿐 아니라 사회 부적응 문제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상담과 치료를 받는 것도 도움이 된다. 우선 중독의 강도가 심해지기 전에 인터넷 유해물 차단 프로그램을 설치하는 것을 권장한다. ‘직장맘’의 경우 밖에서도 집에 설치된 컴퓨터를 볼 수 있는 실시간 원격 관리 시스템을 활용해 볼 수 있다. 이런 프로그램으로는 ‘맘아이’나 ‘아이안심’, ‘수호천사I’, ‘이클린’ 등이 있다.

정부도 인터넷 중독 관련 법안을 통해 정해진 시간 동안만 게임을 할 수 있는 ‘피로도 시스템’ 도입을 의무화했다. 교육과학기술부와 방송통신심의위원회가 만든 유해 사이트 차단 프로그램 ‘그린아이넷’은 희망하는 가정은 무료로 받을 수 있다.

컴퓨터 중독 판별법
중독성을 판별하는 것은 어렵지 않다. 필요하지 않은 경우에도 습관적으로 컴퓨터를 켠다거나 밖에 나가 놀기보다 인터넷을 하며 시간을 보내는 것을 더 즐기는 경우다. 또 스스로 컴퓨터 전원을 끄는 것을 힘들어한다면 중독을 의심해볼 만하다. 인터넷으로만 만나는 친구들이 많거나 사이버머니를 자주 충전하는 것도 컴퓨터 사용을 부추긴다. 또 컴퓨터를 사용한 후 난폭한 행동을 보이고 “그만 하라”는 부모의 충고에도 사용 시간이 늘어난다면 이미 중독 수준일 가능성이 높다. 아이가 여러 증상을 겹쳐 보인다면 전문 진단과 치료를 받을 수 있도록 관련 기관을 방문하는 것이 좋다.

빙학 중 컴퓨터를 적당히 사용하기 위한 수칙
⋅8세 이하는 혼자 컴퓨터 앞에 두지 않기
⋅아이 연령에 맞는 사이트만 방문하도록 곁에서 지도하기
⋅게임을 좋아하는 아이는 교육(학습)용 게임을 하도록 유도하기
⋅바른 자세로 컴퓨터를 사용할 수 있도록 책상과 의자를 조절하기
⋅온라인 공간은 여러 사람이 함께하는 곳이라는 인식을 갖게 하고 이에 따른 인터넷 예절을 교육하기
⋅가족들이 함께 사용하는 개방적인 공간에 컴퓨터 설치하기
⋅유해사이트 차단 프로그램 이용하기
⋅캄퓨터를 사용하거나 인터넷에 접속하는 경우 부모에게 허락 받도록 하기
⋅스트레스를 해소 할 수 있는 다양한 활동 경험 할 수 있도록 하기

아이컴퓨터 생활 도움사이트
자녀보호 프로그램 맘아이: www.momi.co.kr
학부모정보 감시단: www.cyberparents.or.kr
방송통신 심의위원회: www.icec.or.kr
인터넷 중독 예방 상담센터: www.iapc.or.kr
한국컴퓨터생활연구소: www.computerlife.org
한국청소년상담원: www.kyci.or.kr

ⓒ 상하이저널(http://www.shanghaibang.net),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플러스광고

[관련기사]

전체의견 수 0

댓글 등록 폼

비밀로 하기

등록
  • 중국인 선물, 알고 해야 실수 없다 hot [1] 2014.07.21
    선물이란 주는 사람의 정성도 중요하지만 받는 사람의 마음도 뿌듯하고 흐뭇해야 제 구실을 했다고 할 수 있다. 특히 숫자나 색상, 물품 등에 상징적인 의미를 부여하..
  • [6기 맛집체험단] ⑨IFC Malll 그 안의 즐.. [2] 2013.05.31
    지하철 2호선 푸둥 루지아주이역 1번 출구에서 에스컬레이터로 이동할 수 있는 가까운 거리에 IFC Mall이 오픈했다. 홍콩에서 유명한 종합쇼핑몰로 아직 전 층이..
  • [한상윤칼럼] 제주도로 가는 중국인 2010.07.24
    금년 4월30일 155명의 중국인이 동방항공 전세기 편으로 제주도를 방문했다. 관광을 하러 온 것이 아니다. 집을 사러 왔다. 제주도의 모 개발회사에서 개발한 리..
  • 손님접대의 달인-➄ 상하이 성당⋅교회 유적을 찾아서 hot 2010.07.24
    시쟈후이 천주교회당 (徐家汇天主教堂) 천주교의 상하이구역 주교회당으로서 정식 명칭은 ‘성모 천주의 모자당’이다. 1896년에 고딕양식으로 건축되었다. 성당 내에..
  • [서태정 칼럼] 최근 발표된 中 주요 규정 hot 2010.07.24
    -회계, 세무, 외환, 해관, 상무, 공상 분야 1. 국제운송노무서비스에 대해 영업세 면제 -关于国际运输劳务免征营业税的通知 [财税[2010]8号] 2010년 4월..

가장 많이 본 뉴스

종합

  1. 위기의 헝다 자동차, 지방정부가 “보..
  2. 트립닷컴, 관광업 회복에 1분기 수익..
  3. 샤오미, 1분기 순이익 전년比 2배..
  4. ‘공감’ 6주년 기획 '몸·맘·쉼'..
  5. “장가계, 한국인 줄”… 中 언론 “..
  6. 中 스타벅스, 주문 안한 손님 내보내..
  7. 상하이 新정책 호재에 부동산 시장 ‘..
  8. [상하이의 사랑법 13] 마음에 들어..
  9. 알리클라우드, 한국 등 5개국에 데이..
  10. 上海 부동산 新정책 발표, 첫 주택..

경제

  1. 위기의 헝다 자동차, 지방정부가 “보..
  2. 트립닷컴, 관광업 회복에 1분기 수익..
  3. 샤오미, 1분기 순이익 전년比 2배..
  4. 상하이 新정책 호재에 부동산 시장 ‘..
  5. 알리클라우드, 한국 등 5개국에 데이..
  6. 上海 부동산 新정책 발표, 첫 주택..
  7. 中 ‘517’정책 후 부동산 시장 활..
  8. 中 농업·교통·중신은행 ATM 무카드..
  9. 징동 류창동, ‘대기업병’걸린 직원들..
  10. 헝다 자동차, 지분 매각 소식에 주가..

사회

  1. ‘공감’ 6주년 기획 '몸·맘·쉼'..
  2. “장가계, 한국인 줄”… 中 언론 “..
  3. 中 스타벅스, 주문 안한 손님 내보내..
  4. 중국 외교부 화춘잉(华春莹) 대변인,..
  5. 상하이, 中 최초 ‘실외 흡연구역 기..

문화

  1. "책으로 만나는 특별한 상하이".....
  2. [신간안내] 북코리아 5월의 책
  3. ‘범죄도시 4’ 상하이 온다
  4. [책읽는 상하이 241] 하루 3분,..

오피니언

  1. [허스토리 in 상하이] 5월에 하는..
  2. [허스토리 in 상하이] 눈에 보이지..
  3. [허스토리 in 상하이] 눈에 보이지..
  4. [무역협회] 對中 AI 모델 수출..
  5. [상하이의 사랑법 13] 마음에 들어..
  6. [김쌤 교육칼럼] TCK들의 글로벌..

프리미엄광고

ad

플러스업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