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메뉴

상하이방은 상하이 최대의 한인 포털사이트입니다.

<대학탐방> 체육지도자 양성의 산실 – 상해체육대학

[2007-10-29, 23:08:05] 상하이저널
중국 상해의 대학교들 속에는 많은 한국 유학생들이 있다. 그러나 상해체육대학은 아직 사람들에게 생소한 학교이다. 상해 체육학교의 한국인학생회 회장 엄태준(3학년)군과 경기체육학과 과대표 박성규(3학년)군을 만나 상해체육대학에 대해서 이야기를 나누어 봤다.

Q: 먼저 상해체육대학교에 대한 소개를 부탁 드립니다.
A: 상해체육대학은 중국에서 가장 오래된 체육대학으로서 중국의 유명한 농구선수 야오밍과 110M 허들선수 류시앙 등 많은 스타선수들을 배출한 학교이다.

Q: 상해체육대학에 재학중인 한국유학생은 얼마나 되는지?
A: 현재는 약 50명 정도의 한국 유학생들이 상해체대에서 유학을 하고 있다. 보통 경기체육학과, 우슈과, 체육교육과, 사회체육과에 재학 중이다.

Q: 어떻게 중국에서 유학을 하게 되었는지?
A: 우리 한국유학생들은 보통 한국에서 모두 운동을 하던 학생들이다.
그러다가 교수님들 혹은 코치님들의 조언으로 유학을 하게 되었다. 현재 재학중인 한국 학생들은 모두가 선수보다는 앞으로 지도자나 심판 혹은 도장경영 등을 목적으로 공부하고 있다.

Q: 유학생들의 수업 방식과 생활은?
A: 우리유학생들도 중국 학생들과 똑같이 4년제이며 함께 수업을 받는다.
다른 학교와 조금 다른 점이라면 아무래도 체육대학이기 때문에 실기수업이 많은 편이다. 우리는 한국에서 중국어보다는 운동을 했기 때문에 처음 이 학교에 입학하면 의무적으로 6개월은 중국어를 배워야 하고, 1년 동안은 학교 기숙사에서 생활을 해야 한다.
작년에 처음으로 한국인 졸업생이 배출되었다. 졸업을 위해서는 자격시험을 통과 해야 하고, 일정이상의 단수를 갖추고 있어야 한다.

Q: 상해체육대학 한국학생회는 어떠한 활동을 하고 있으신지?
A: 우리학교의 한국유학생이 아직 많지 않고 잘 알려지지가 않아서 많은 활동은 못하고 있다. 한국인 학생회도 작년에 처음 만들게 되었고, 올해에는 상총련 가입을 추진 중이다. 우리학교를 조금이라도 알리기 위해서 현재 상총련 축구대회에 매년 참가 중이며, 태권도 시범단을 만들어서 길거리 공연 등을 하고 있다.

Q: 마지막으로 하고 싶은 말이 있다면?
A: 체육대학이라는 이름 때문인지 많은 사람들이 선입견을 가지고 있는 것 같다. 그러나 우리 상해체대의 한국 유학생들도 다른 학교의 한국학생들과 같이 중국어도 배우고 자신의 위치에서 최선을 다하는 학생이다. 비록 아직 학생수는 적지만 오히려 서로서로가 매우 가족 같은 분위기 속에서 생활을 한다. 또한 중국학생들과 함께 운동하면서 우리나라의 태권도 등을 중국에 전파한다는 생각에 매우 큰 자부심을 느끼고 있다.
우리학교는 운동을 했던 사람이 아니더라도 운동을 하고 싶고 좋아하는 사람들이 모여서 공부 할 수 있는 학교이다. 앞으로 상해 체육대학교가 다른 학교와도 많은 교류를 했으면 좋겠다.
▷복단대 유학생기자 정재웅

플러스광고

[관련기사]

전체의견 수 0

댓글 등록 폼

비밀로 하기

등록
  • 올해 중국대졸자 495만명, 취업경쟁 치열 2007.10.29
    지난 22일 열린 노동사회보장국의 뉴스브리핑에서 노동보장부 정보센터 부주임 자이옌리(翟燕立)는 2007년 중국의 대졸자가 495만 명으로 2006년보다 82만 명..
  • <김형술칼럼> 블랙 리스트에 오르다 2007.10.29
    최근 식당에서 식사를 하다보면 여기저기서 "누구네가 어디에 집을 사서 얼마를 벌었다더라*면서 서로서로 새로운 부동산 정보를 주고받는 광경을 심심찮게 볼 수 있다...
  • 유학생에게 중국어와 HSK 의미는 무엇 2007.10.29
    매년 전국적으로 실시하는 고등한어수평고시(高级HSK)가 10월14일에 치뤄졌다. 수험생 대부분이 유학생들이라서, 본 학업 외에도 각자 HSK급수를 따..
  • 고급주택 가격 계속 오른다 2007.10.29
    올 3분기 상하이 고급주택의 평균 판매가격이 지난 분기 대비 4.7% 상승, 지난해 동기대비 7.2% 올라 ㎡당 4203달러인 것으로 나타났다고 新闻..
  • 상하이 유래, 속속들이 파헤쳐보자 2007.10.29
    '上海' 명칭이 생긴 유래 중국에서 가장 번화한 도시 중 하나이며 대표적인 경제도시로 세계에서 주목 받고 있는 상하이, 이 곳은 아주 먼 옛날에는 바다였다. 긴..

가장 많이 본 뉴스

종합

  1. “K-가곡, 상하이음악청에 울린다”
  2. 씨티은행 “중국 집값 6~9개월 내..
  3. 상하이, 외국인을 위한 ‘How to..
  4. 상하이저널 대학생 기자단 2024 상..
  5. 샤오미, 첫 사망사고 발생 “기술 결..
  6. 中 신체 노출 우려에 사무실 CCTV..
  7. 中 국산 항공기, 바이오 항공유로 첫..
  8. 中 1분기 커피시장 약세…주요 브랜드..
  9. 애플, 아이폰·맥북·아이패드에 챗GP..
  10. 中 전기차 니오, 1~5월 인도량 전..

경제

  1. 씨티은행 “중국 집값 6~9개월 내..
  2. 샤오미, 첫 사망사고 발생 “기술 결..
  3. 中 국산 항공기, 바이오 항공유로 첫..
  4. 中 1분기 커피시장 약세…주요 브랜드..
  5. 애플, 아이폰·맥북·아이패드에 챗GP..
  6. 中 전기차 니오, 1~5월 인도량 전..
  7. 中 최초의 국산 크루즈, 탑승객 연인..
  8. 中 여름방학 해외 여행 예약 시작됐다
  9. 中 반도체 시장 회복에 5월 집적회로..
  10. 中 단오절 연휴 1억 1000명 여행..

사회

  1. “K-가곡, 상하이음악청에 울린다”
  2. 상하이, 외국인을 위한 ‘How to..
  3. 상하이저널 대학생 기자단 2024 상..
  4. 中 신체 노출 우려에 사무실 CCTV..
  5. 눈떠보니 ‘中 국민 영웅’ 싱가포르..
  6. 中 연차에 대한 모든 것, 상하이시..
  7. 6월 15일 상하이 고속철 2개 노선..
  8. “복덩이가 왔다!” 中 푸바오 첫 공..
  9. SHAMP 제17기 입학식 개최 "주..
  10. [인터뷰] “기록의 이유… 보통 사람..

문화

  1. 상하이, 단오절 맞이 민속·문화예술..
  2. 희망도서관 2024년 6월의 새 책
  3. “K-가곡, 상하이음악청에 울린다”
  4. [책읽는 상하이 242]나인

오피니언

  1. [독자투고] 상하이에서 TCK로 살아..
  2. [중국 세무회계 칼럼] Q&A_ 중국..
  3. [신선영의 ‘상하이 주재원’] 4년..
  4. [허스토리 in 상하이] You ar..
  5. [안나의 상하이 이야기 12]상하이..
  6. [Jiahui 건강칼럼] 무더운 여름..
  7. [무역협회] 韩, 왜 해외직구를 규제..
  8. [무역협회] 한·중·일 협력 재개,..
  9. [허스토리 in 상하이] 여름방학
  10. [Dr.SP 칼럼] 지구온난화 속 무..

프리미엄광고

ad

플러스업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