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메뉴

상하이방은 상하이 최대의 한인 포털사이트입니다.

<건강칼럼> 배앓이 자주하는 아이들의 속사정

[2008-09-23, 00:01:07] 상하이저널
최근 진료실을 찾는 아이들 중 ‘배가 아프다’는 경우가 부쩍 많아졌다. 어느 해보다도 무더웠던 올 여름, 분명 아이들은 아이스크림ㆍ청량음료와 같은 찬 것을 즐겨 먹었을 터. 더구나 아침과 낮의 기온 차가 10℃ 이상 되는 요즘 감기에 걸리기라도 하면 은근슬쩍 장염까지 따라오게 마련이다.

바이러스성 장염이 유행하는 늦가을도 아닌데 벌써부터 잦은 배앓이, 장염, 만성설사가 유행하는 것은 여름철을 무방비하게 보냈던 탓이 크다. 여름에는 우리 몸의 기운이 겉으로 몰린 반면 속은 차가워져 위장의 면역력이나 기능이 현저히 떨어진다. 게다가 한증막 안에서 사람이 활동하기 어려운 것처럼 장(腸)에 습한 기운이 쌓여 장 자체가 움직이지 않고 늘어지기 쉽다.

이런 경우에는 자칫 잘못된 식생활에 의해 배앓이, 설사, 복통, 구토 등을 유발하게 된다. 평소 비위가 약하거나 위장에 열이 많은 경우도 마찬가지다. 이런 이유로 여름철에는 ‘적당히 땀을 흘리며 몸을 움직여라’ ‘과도한 냉방을 피하고 여름을 즐겨라’는 잔소리가 나온 것이다.

문제는 지난 여름 장염이나 배앓이, 만성설사에 시달렸던 아이들이 지금까지 입맛을 잃는다는 것이다. 가을은 천고마비의 계절이라고 했다. 아이들도 좋은 영양분을 섭취해 무럭무럭 자라야 할 때다. 하지만 배앓이나 장염으로 인해 제대로 영양분을 섭취 못하고 섭취한 것도 몸 밖으로 빠져나가면 아이들 성장에도 영향을 미칠 수밖에 없다.

아이가 배앓이나 장염을 앓고 났을 때 엄마들이 흔히 저지르는 실수 하나가 있다. 아이가 그간 잘 먹지 못한데다 구토ㆍ설사로 기력이 떨어졌다고 생각해 장염 후 기운을 보충하겠다며 기름진 음식을 먹이는 것이다. 하지만 이 때는 소화가 잘 되는 죽ㆍ누룽지 같이 부드러운 음식부터 차근차근 먹여야 한다.

위장 기능이 제 상태로 돌아오지 않았는데 기름진 음식이나 우유, 과일 주스, 차가운 음식을 먹으면 다시 설사를 할 수 있으니 말이다. 소화하기 힘든 현미밥보다는 성질이 따뜻하고 소화하기 쉬운 찹쌀을 섞은 흰 쌀밥이 좋다.

평소 장염이나 배앓이 예방을 위해 위생 관리를 철저히 하는 것도 중요하다. 특히 음식 먹기 전과 화장실을 다녀온 뒤에는 반드시 손을 씻어야 한다. 손을 씻을 때는 손가락 사이와 손톱 주변까지 꼼꼼히 닦은 뒤 반드시 마른 수건으로 물기를 잘 닦아야 한다.

비위가 약하거나 위장에 열이 많아서 장염에 자주 걸리는 아이들은 잘 먹지 않는다. 이런 아이들은 각각의 원인에 따라 비위를 강화하거나 위열을 내려주어 위장 활동을 돕는 것이 좋다. ▷함소아한의원

Tip. 배앓이 증상
▶설사할 때: 식중독이나 장염에 걸리면 설사와 함께 복통을 호소하는 경우가 많다. 아기가 설사를 하면 몸에서 수분이 빠져나가면서 탈수 증상이 일어날 수 있는데, 이럴 때 적절한 방법으로 수분을 보충해주는 것이 급선무다. 수분 보충용으로는 제일 좋은 것은 약국에서 파는 전해질 용액이다.
▶토할 때: 많은 엄마들이 아기가 토를 하면 속이 편하라는 뜻에서 아예 굶기곤 해서 문제가 되곤 한다. 아기를 굶기면 당장은 토를 하지 않아 좋을지 모르지만, 나중에는 아기가 더 처지게 돼 입원까지 할 수도 있다. 아기가 토를 할 때는 탈진하지 않도록 수분 보충에 신경을 쓰면서, 진정이 되면 빨리 정상적으로 음식을 먹여야 한다. 물론 심하게 토해서 지나치게 처지거나, 피가 섞인 토를 하거나, 초록빛을 띤 토를 할 경우에는 곧바로 병원을 찾아야 한다.
▶열날 때: 열이 심하게 날 때는 해열제를 먹어 열을 떨어뜨려 주어야 하지만, 무분별하게 사용하지 않도록 주의한다. 그리고 아기의 옷을 벗겨 시원하게 하고, 미지근한 물로 몸을 닦아주면 도움이 된다.

Tip. 배앓이 예방과 치료에 좋은 한방 요법
▶계피차: 계피 10g에 물 1ℓ를 넣고 끓이다가 물이 끓기 시작하면 낮은 불에서 20분 정도 더 달인 뒤, 건더기를 빼고 꿀이나 설탕으로 맛을 조절해가며 마신다. 인스턴트로 나온 가루차보다는 계피 껍질을 그대로 사용하는 게 좋고, 마실 때 대추를 썰어 차에 띄우면 더 좋다. 기운이 부족해서 생기는 배앓이에 효과가 있다.
▶도토리차: 도토리를 약한 불에 볶아 부드럽게 가루를 낸 뒤 한 번에 5~6g씩 여러 번 나누어 먹인다. 물에 삶아 한 번에 1~3알씩 하루 2~3회 먹여도 좋다.
▶찹쌀차: 찹쌀과 멥쌀을 한 컵씩 섞어 옅은 갈색 빛이 날 때까지 볶은 뒤 800㎖의 물을 넣고 약한 불에서 끓여 수시로 먹인다.
▶매실즙: 익기 직전의 매실을 깨끗한 물에 씻어 물기를 뺀 뒤 천이나 거즈로 가볍게 닦아준다. 강판에 갈아 헝겊 주머니에 넣어 즙을 낸다. 이것을 약한 불에서 주걱으로 잘 저어가면서 색깔이 흑갈색이 되어 끈적끈적해질 때까지 졸인다. 매실 진액을 꿀과 함께 물에 풀어 음료수 대용으로 꾸준히 먹인다.
▶대추·구기자차: 대추와 구기자에 물을 붓고 국물이 진하게 우러날 때까지 달인 뒤 먹인다.
▶마죽: 쌀가루를 흰죽이 될 때까지 끓인 뒤 마 가루를 넣고 5분 간 더 끓여 먹인다.

플러스광고

[관련기사]

전체의견 수 0

댓글 등록 폼

비밀로 하기

등록
  • <건강>가을철 야외활동 조심하세요 2008.09.17
    유행성출혈열, 中 매년 10만명 감염… 세계 1위
  • [건강칼럼] 골다공증… 40세 이후 골밀도 감소 2008.09.09
    흡연·과음도 골다공증 원인 향후 우리사회는 지금껏 경험해 보기 못한 고령화 사회로서 골다공증은 심혈관 질환 및 당뇨병에 이어 가장 중요한 노인 질환으로 대두 될..
  • [건강 Tip] 영양과 어린이의 지능 2008.09.02
    영양학 전문가들은 뇌기능을 높이는데서 음식이 80%의 역할을 하는 것으로 보고 있다. 어린이들은 2살이 되면 뇌세포의 증식이 끝나고 3살이 되면 뇌질량이 어른 뇌..
  • [건강칼럼] 승리의 환호, '만세'에 숨겨진 건강.. 2008.09.02
    17일간 전 세계인을 감동의 도가니로 몰아넣었던 베이징 올림픽이 드디어 막을 내렸다. 더웠던 여름 밤, 우리는 326kg을 들어 올린 장미란 선수나 400m 자유..
  • [건강] 변비에 좋은 음식 2008.08.26
    *미역 해조류 중에서도 특히 섬유소가 많은 것이 미역이다. 비타민이 풍부한 오이, 팽이버섯과 함께 새콤달콤하게 무쳐내면 나른한 여름, 입맛도 확 살릴 수 있어 금..

가장 많이 본 뉴스

종합

  1. 씨티은행 “중국 집값 6~9개월 내..
  2. “K-가곡, 상하이음악청에 울린다”
  3. 상하이, 외국인을 위한 ‘How to..
  4. 상하이저널 대학생 기자단 2024 상..
  5. 샤오미, 첫 사망사고 발생 “기술 결..
  6. 中 국산 항공기, 바이오 항공유로 첫..
  7. 中 신체 노출 우려에 사무실 CCTV..
  8. 애플, 아이폰·맥북·아이패드에 챗GP..
  9. 中 전기차 니오, 1~5월 인도량 전..
  10. 中 1분기 커피시장 약세…주요 브랜드..

경제

  1. 씨티은행 “중국 집값 6~9개월 내..
  2. 샤오미, 첫 사망사고 발생 “기술 결..
  3. 中 국산 항공기, 바이오 항공유로 첫..
  4. 애플, 아이폰·맥북·아이패드에 챗GP..
  5. 中 전기차 니오, 1~5월 인도량 전..
  6. 中 1분기 커피시장 약세…주요 브랜드..
  7. 中 최초의 국산 크루즈, 탑승객 연인..
  8. 中 여름방학 해외 여행 예약 시작됐다
  9. 中 단오절 연휴 1억 1000명 여행..
  10. 中 반도체 시장 회복에 5월 집적회로..

사회

  1. “K-가곡, 상하이음악청에 울린다”
  2. 상하이, 외국인을 위한 ‘How to..
  3. 상하이저널 대학생 기자단 2024 상..
  4. 中 신체 노출 우려에 사무실 CCTV..
  5. “복덩이가 왔다!” 中 푸바오 첫 공..
  6. SHAMP 제17기 입학식 개최 "주..
  7. 눈떠보니 ‘中 국민 영웅’ 싱가포르..
  8. 中 연차에 대한 모든 것, 상하이시..
  9. 6월 15일 상하이 고속철 2개 노선..
  10. [인터뷰] “기록의 이유… 보통 사람..

문화

  1. 상하이, 단오절 맞이 민속·문화예술..
  2. 희망도서관 2024년 6월의 새 책
  3. “K-가곡, 상하이음악청에 울린다”
  4. [책읽는 상하이 242]나인

오피니언

  1. [독자투고] 상하이에서 TCK로 살아..
  2. [중국 세무회계 칼럼] Q&A_ 중국..
  3. [신선영의 ‘상하이 주재원’] 4년..
  4. [허스토리 in 상하이] You ar..
  5. [안나의 상하이 이야기 12]상하이..
  6. [Jiahui 건강칼럼] 무더운 여름..
  7. [무역협회] 韩, 왜 해외직구를 규제..
  8. [무역협회] 한·중·일 협력 재개,..
  9. [허스토리 in 상하이] 여름방학
  10. [Dr.SP 칼럼] 지구온난화 속 무..

프리미엄광고

ad

플러스업체